
봉준호 감독의 을 볼때 스포당하지 않으려고 얼마나 애썼는지 모른다. 보고 나서 어찌나 마음이 편하던지. 관객이 700만이 넘은 지금은 지하에서 살던 배우들도 완전체로 무대인사를 다니더라. 늘 봉준호 감독을 볼 때마다 달변이라는 느낌이 든다. 정돈된 생각을 차분한 어조와 기품있는 태도로 말씀하신다. 특히 (2017.06.15) 인터뷰(링크)는 정말 레전드였지. 마지막으로 손석희 사장께 질문했는데, 마치 그 질문을 하려고 출연한 느낌이었다. 봉준호 감독의 이 인터뷰를 보며 본디 직업은 지속되는 큰 의도와 소소한 기쁨들이 함께 있어야 지속가능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면서도 늘 자신에게 이 작업이 가지는 의미는 고민하게 되는. -박 사장네 가족은 감독님 영화에 완전히 새롭게 진입하는 배우군이다. 특히 이..

신기한 일이다. 죽음을 생각할수록 삶에서 중요한 것이 확실히 보인다. 어려울 때 내곁에 남을 사람이 도드라지듯이. 그래서 그런지 직업상 죽음을 자주 접하는 분들을 보면 도인같이 달관한 느낌이 든다. 존경스럽다. ◆김새별 대표가 말하는 ‘아름다운 마무리’를 위한 7계명 1.삶의 질서를 세우기 위해 정리를 습관화하라. 처음부터 쓰레기가 쌓이도록 내버려둔 경우는 없다. 세상에 상처받고, 사람에 실망하고, 먹고사는 일에 치여 삶의 의지를 놓을 때 게으름도 함께 찾아온다. 우리의 일상을 지탱하는 것은 먹은 그릇을 설거지하고, 먼지 앉은 가구를 닦고, 바닥을 걸레질하는 것처럼 사소한 일들에서 시작된다. 내가 떠나고 난 자리가 아름다울수록 남겨진 사람들의 슬픔은 덜어진다. 2. 직접 하기 힘든 말은 글로 적어보라. ..

시작은 법의학이었으나 끝은 어떻게 살고 죽을지에 관한 법의학자 유성호 교수님의 인터뷰. 자살을 실패한 사람들 대부분이 살고 싶어한다는 얘기는 간호사를 하셨던 분께도 들었다. 응급실에 실려오는 자살기도 실패한 100%의 사람들이 다들 살려달라고 한다고. 삶이란 무엇일까. 그리고 죽음이란 무엇일까. 가장 가까이에서 지켜본 분의 얘기를 들어본다. -선생이 가르치는 서울대 교양강의 ‘죽음의 과학적 이해'엔 학생들이 벌떼처럼 모여든다더군요. "광속 마감이죠(웃음). 처음엔 호기심에서 와요. 미국드라마 ‘CSI 과학수사대'나 소설가 히가시노 게이고 책에 나오는 미스터리한 죽음을 보려고요. ‘명탐정 코난’이나 ‘소년 탐정 김전일’이 된 듯한 흥분감이 있지요. 하지만 갈수록 ‘어떻게 살아야 하나' 숙연한 감정을 느끼더..

밀회가 방영된지 벌써 5년이 넘게 시간이 흘렀다. 사실은 이 맥스무비의 안판석 PD님 인터뷰가 이곳 인터리슨을 만든 계기이다. 나만 보기에는 너무 아까워서 어딘가에 올리고 싶었다. 시간이 지나서 다시 봐도 너무 좋은 인터뷰니까(그래서 인터뷰를 묵혔다가 다시 보는 것을 좋아한다). 이걸 올릴 때가 언젠가 오기를 바랬는데, 드디어 올리네. :) 어떤 것을 완벽하게 만들기 위한 과정을 알게 되는 것을 개인적으로 좋아한다. 그래서 내가 인터뷰와 메이킹 필름을 좋아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늘 그 뒷 이야기에 마음을 빼앗긴다. 안판석 PD님은 어느 기사를 읽어도 그 성정이나 실력이 대한민국에서 최고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더불어 조민준 님도 인터뷰어의 색이 물들지 않게 너무 인터뷰를 잘 해주셨네. 그러고 보니 ..
최근 댓글